생활안전 메뉴 이미지

상처

상처

피부가 찢어져 피가 나는 경우를 말한다. 개방성 상처를 가진 사람은 출혈과 감염의 우려가 있다. 개방성 상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찰과상
  • ("긁혔다"로 표현한다).피부의 표피층만 다친 경우를 말하며 출혈이 없거나 있어도 소량에 불과하다. 찰과상은 대개 통증이있는데 이는 신경의 말단이 피부와 함께 벗겨졌기 때문이다. 흔히 이물이 박혀 있을 수 있고, 상처 부위가 크거나 이물질이 상처 안으로 들어가면 감염될 수 있다.
열상
  • 상처의 가장자리가 톱니꼴로 불규칙하게 생긴 상처를 말한느데 주로 피부 조직이 심하게 찢겨져 생긴다.
절상
  • 종이에 베었거나 수술시 절개 부위와 비슷한 상처를 말하며, 보통 가장자리가 매끄럽다. 상처의 깊이, 위치 그리고 크기에 따라 출혈량이 달라진다.
자상
  • 손톱이나 칼에 찔린 상처를 말하며, 주로 상처가 깊고 좁기 때문에 피부의 내부 조직에까지 상처가 생긴다. 자상의 상처 부위는 작아 보이지만 감염의 위험은 높다. 상처의 원인이 되는 물체가 꽂혀 있기도 한다.
결출상
  • 살이 찢겨져 떨어진 상태로 늘어진 살점이 상처부위에 붙어 있기도 하고 완전히 떨어져 나가기도 하는 상처를 말하는데 이런 경우 출혈이 심하다. 만약 살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다면 제자리에 펴놓는다. 이 상처는 주로 귀, 손가락, 손에 잘 생긴다.
하지 말아야 할 일
  • 크거나 불결하고 혹은 생명에 지장을 주는 상처는 세척하지 말고 병원으로 가도록 한다. 상처를 소독솔로 세척한다. 그러나 상처를 문지르면 조직이 상할 수도 있다.
  • 가능한 달라붙지 않는 소독거즈로 드레싱을 한다. 드레싱은 항상 깨끗하고 건조하게 보관한다.
  • 팔이나 다리에 드레싱을 할경우 감는 접착 붕대나 반차아골르 사용하여움직이지 않게 하고 그 외 신체부위에는 드레싱의 네 면을 반창고로 붙인다. 간단한 상처인 경우에는 항생 연고를 발라도 된다.
  • 드레싱은 매일 한 번 갈아주고 젖거나 더러워지면 자주 갈아주도록 한다.
  • 요오드 농도가 진한 약품(베타딘10%)이나 70% 알코올로 씻지 않는다.
  • 이러한 약품은 병균뿐 만 아니라 신체 세포까지 죽인다. 또한 사람에 따라 요도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다.
  • 과산화수소는 사용하지 않는다. 병균을 죽이지 않고 오히려 모세혈관의 혈류와 상처치유를 방해한다.
  • 봉합이 필요한 상처나 자상에는 항생연고를 사용하지 않는다. 상처의 분비물의 배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찰과상이나 깊지 않은 상처에만 항생연고를 바른다.
  • 상처를 세척하려고 물에 상처 부위를 담그지 않도록 한다.
  • 상처에는 나비 모양 반창고나 접착 밴드를 직접 덮지 않는다.병균이 상처 부위에 묻어 감염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
  • 손이나 발의 상처는 부상을 입은지 6~8시간 내에는 봉합이 가능하다. 머리나 몸통에 난 사아처는 부상 후 길게는 24시간까지 봉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3일 내지 5일까지도 봉합이 가능한 상처가 있다.
  • 상처나 드레싱에 대고 입으로 바람을 불지 않는다.
상처세척
  • 흐르는 물로 상처를 씻는다. 상처는 반드시 세척해서 감염을 예방한다. 상처 세척으로다시 출혈이 시작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절차이다. 출혈이 심하면 확실히 멈출 때까지 압박붕대를 메어둔다.
  • 비눗물로 손을 잘 씻고 가능하면 의료용 장갑을 낀다.
  • 상처를 씻는다.
  • 가벼운 상처의 경우 (열상, 절상의 경우) 깨끗한 물로 씻는다.
  •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로 상처를 세척한다. 그릇에 담겨있는 물보다는 흘러내리는 물로 직접 상처 부위를 대고 세척해야 한다.
  • 주사기로 뿜는 정도는 충분한 압력이 못된다. 감염 가능성이 높은 상처(동물에게 물린 상처이거나 매우 더럽고 너덜너덜한 상처 혹은 찔린 상처)일 때는 병원에 가서 상처 세척을 한다.
  • 병원에 한 시간 내에 갈 수 없는 경우에는 가능한 상처를 깨끗히 세척한 후 이송한다.
  • 세척으로 제거되지 않는 이물은 핀셋으로 제거한다.
  • 더러운 찰과상이거나 그 밖의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은 상처는 흉이 남을 수도 있다.
상처보호
  • 봉합이 필요하지 않은 작은 상처는 항생연고을 얇게 바른다. 항생연고는 병균을 많이 죽일 수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이 거의 없다. 상처를 덮을 때는 소독 드레싱을 사용한다. 반창고로 상처를 직접 덮어서는 안된다. 상처를 그대로 두거나 드레싱을 하였을 때보다 세균 감염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드레싱과 붕대는 응급처치에 사용되는 물품이다. 드레싱은 상처에 대서 지혈을 하고 오염을 막는다. 붕대는 드레싱을 그자리에 고정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드레싱을 바꾸려다가 딱지가 떨어지면 상처가 아무는 속도가 느려지고 감염의 위험성이 커진다. 드레싱을 뗄 경우 따뜻한 물러 딱지를 부드럽게 하면 쉽게 뗄 수 있다.
상처감염
  • 모든 상처는 감염의 우려가 있다. 일단 감염이 되면 상처가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예방만이 최선의 방법이다. 상처는 반드시 앞에 설명한 과정에 따라 세척해야한다. 상처 부위가 감연된 것을 반결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염된 상처는 부어 오르고 빨갛게 변하며, 욱신욱신 쑤시고 고름이 나기도 하며, 열이 나고 임 파선이 붓기도 한다. 심지어 상처 부위에서 심장쪽으로 붉은 줄이 생기기도 한다. 이것은 감염이 퍼져서 사망할 수 있는 심각한 징후이다. 따라서 상처가 감염되었는지를 알고 처치 방법을 익혀두는 것이 중요하다. 오한과 고열이 있으면 감염이 순환기예까지 미인 것 (폐혈증)이다. 이 경우 즉시 병원에 가야한다.
파상풍
  • 파상풍균 자체만으로는 파상풍을 일으키지 않는다. 파상풍은 자상과 같이 산소가 없는 상처로 파상풍균이 들어가면 강력한독성을지닌 독소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독소는 신경계를 통해 뇌와 척추로 이동하여 일부 근육, 특히 턱의 근육을 수축시킨다. 일단 신경계에 독소가 침입하면 이를 막을 해독제는 없다. 파상풍은 예방주사로 완전하게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독소를 막을 수 있는 면역 체계를 갖기 위해서는 누구나 어릴때부터 기본 예방주사를 맞아야 한다. 그 후 5~10년마다 추가접종을 하면 충분히 면역 체계를 유지 할 수 있다.
  • 파상풍 추가접종이 필요한 사람은 다음과 같다.
    • 파상풍 예방접종을 전혀 하지 않은 사람으로 상처를 입었을 경우, 예방접종과 추가접종을 즉시 해야한다.
    • 과거에 예방접종을 하였으나 지난 10년간 추가접종을 하지 않은 경우
    • 상처가 불결하고 추가접종을 한 지 5년이 넘은 사람
    • 파상풍 예방주사는 상처를 입은 지 72시간 이내에 맞아야 효과가 있다.
    • 파상풍 호발 창상인 경우(오염 및 조직이 많이 상한 창상)에는 추가접종 뿐만 아니라 파상풍 항체 주사를 맞아야 되는 경우가 있다.